관리 대상의 데이터베이스 등록 및 AWS 동기화하기
November 29, 2024
Curious?
Reveal the Magic!
Please fill out the form to unlock your exclusive content!
Overview
클라우드 동기화 기능을 통해 다양한 클라우드의 데이터베이스를 한 번에 동기화 해올 수 있는 방법과 수동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해당 가이드에서는 AWS 내의 리소스를 동기화하여 QueryPie 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고 온프렘에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
AWS 연동을 통한 DB 동기화 및 관리
사전 조건: 각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시 아래의 정책이 필요합니다.
- RDS : AmazonRDSReadOnlyAccess
- DynamoDB : AmazonDynamoDBFullAccess
- Redshift : AmazonRedshiftReadOnlyAccess
- Athena : AmazonAthenaFullAccess, AmazonS3DFullAccess
- Redis : AmazonElastiCacheFullAccess
STEP 1 Cloud Provider 메뉴에서 Create Provider
버튼을 클릭하여 연동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Name: Provider를 구분할 수 있는 이름
- Cloud Provider: Amazon Web Services
- Region: 동기화하고자 하는 리소스의 리전
- Credential: Choose one of the following options:
- Default Credential: QueryPie가 설치된 EC2 인스턴스 IAM 권한에 정책을 할당하여 같은 AWS 내 리소스 동기화
- Cross Account Role: IAM 역할을 생성하여 다른 AWS 계정의 리소스 동기화
- Access Key: AWS 계정의 Access Key를 입력하여 리소스 동기화
- Database Type Filter: 동기화 하고자하는 리소스
- Replication Frequency: Choose the synchronization method:
- Manual: 동기화를 하고자 하는 시점에만 수동으로 동기화
- Scheduling: Cron Expressions 활용으로 주기적인 리소스 동기화를 스케줄링
STEP 2 Cloud Provider 메뉴에서 생성된 프로바이더를 선택합니다.
STEP 3 Synchronize
버튼을 클릭하여 AWS 리소스를 동기화합니다.
STEP 4 DB Connections 메뉴에서 동기화된 리소스들을 확입합니다.
데이터베이스 수동으로 등록하기
STEP 1 DB Connection 메뉴에서 SCreate Connection
S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2 데이터 소스 종류를 선택하고 리소스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Allowed Zone: DB 커넥션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
- General > Allowed Zones 메뉴에서 등록한 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, 기본적으로 모든 대역을 허용하는 Default 값이 선택됩니다.
- Connection Name: Connection을 구분할 수 있는 이름
- Host: DB의 Host (도메인, IP 모두 지원합니다.)
- Port: DB의 Port
- Database Name: 커넥션 연결 시 기본적으로 접속할 DB 이름
- Secret Store: 인증정보 저장 위치
- QueryPie: QueryPie 내부에 저장
- Vault: Vault 연동을 지원하며, 등록한 Vault 이름이 표시됩니다.
STEP 3 Username, Password 입력 후 Test Connection
버튼을 클릭하여 접속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합니다.
STEP 4 Next
버튼을 눌러 저장하고, DB Connection 메뉴의 목록에서 생성한 커넥션을 확인합니다.